# C, C++는 컴파일 할 때, 윈도우면 윈도우 전용 컴파일러가 필요하고, Linux면 linux 전용 컴파일러가 필요하다.(중간언어X) 한마디로 OS 환경에 맞게 필요하다는 뜻이다. 이 안에는 중간언어는 없다. 컴파일 했을 시에 바로 기계어로 변환이 된다. 거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고 한다. # 중간언어 : IL(C#) , Java(JVM) 크로스 플랫폼을 위해 사용된다(지원된다). 예를 들어 Window에서 돌아가는 소스를 작성해서 컴파일을 했다고 생각하자, 그것을 OS 환경이 다른 Linux로 바꿔서 컴파일을 하면 바로 컴파일이 됨. 이것이 중간언어의 목적이다. 대신에 한번 거치기 때문에 C, C++ 보다 속도가 떨어진다. # 이부분들이 C, C++ C#, Java의 차이

ERROR : [com.cobim.cobimproj.exception.GlobalExceptionHandler] handleException: Handler dispatch fail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OutOfMemoryError 적어 주기 편집 후 intellij 다시 시작 -Xms5120m -Xmx8192m -XX:PermSize=200000m -XX:MaxPermSize=200000m -XX:+UseConcMarkSweepGC -XX:SoftRefLRUPolicyMSPerMB=50 -ea -Dsun.io.useCanonCaches=false -Djava.net.preferIPv4Stack=true -XX:+HeapDumpOnOutOfMemoryError -X..

SpringBoot의 메인 실행 application 부분에 Cannot resolve symbol SpringBootApplicaition error 시에 해결 방법 우측 gradle 탭을 클릭 새로 고침 모양 클릭 gradle의 모든 작업이 완료 후에 해결됨.

# 방법 : SELECT * FROM TB_USER; # (XMLAGG, XMLELEMENT) 이용 SELECT USER_ID, SUBSTR( XMLAGG( XMLELEMENT(COL ,',', F_USER_NAME) ORDER BY F_NO).EXTRACT('//text()').GETSTRINGVAL(), 2) F_USER_NAME FROM TB_USER GROUP BY USER_ID; # (WM_CONCAT) 이용 SELECT USER_ID, WM_CONCAT(F_USER_NAME) F_USER_NAME FROM TB_USER GROUP BY USER_ID; -> 된다는데, 식별자 WML_CONCAT : 부적합한 식별자가 나오긴함. 아마도 오라클 버전 문제 같음. #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