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번에 사용한다고 해서 정리 해보았다.
1. git / gitlab
코드 호스팅 도구
2. sonarQube
정적 분석 툴 -> 정적 데이터 처리
20개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버그, 코드 스멜, 보안 취약점을 발견할 목적으로 정적 코드 분석으로 자동 리뷰를 수행하기 위한 지속적인 코드 품질 검사용 오픈 소스 플랫폼.
-> 소나 큐브를 사용하면 해당 소스를 사용할 때 지켜야 할 룰을 가지고, 벗어날 시에 해당 룰 언급과 문제 부분을 말해준다고 한다. 소나 큐브가 항상 옳지는 않아서, 회사에서 맞는 소스와 소나큐브의 룰을 둘다 보고 좋은 코드를 만든다고 함.
그 후에 품질 게이트를 만들어준다고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품질은
1. 품질 게이트 통과로 하거나
2. TC(Test Case) 해당 기능 목록을 적어놓고 기능 부분을 다 통과 했을 시 품질을 매긴다.
1,2 둘다 쓰거나 2번만 쓰는 경우가 있음. 쓴이는 2번만 사용 했었다.
3. Atlassian Crucible
코드 리뷰 툴
Atlassian Crucible을 사용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소스의 해당 부분에 메모 또는 리뷰 등을 달 수 있다고함.
'형상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상관리] git 그리고 svn 차이 (0) | 2022.12.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