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인 : 잔디가 안심어지는 이유는 이메일이 맞지 않아서이다.github에 있는 이메일과 커밋된 주소의 이메일을 잘 확인해보자 => 맞지 않다. 그래서 잔디가 안심어진것. # 커밋 하기 전 경우프로젝트 마다 변경 하고 싶은 경우$ git config user.email "이메일"$ git config user.name "이름" 모든 프로젝트 변경 하고 싶은 경우.$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 커밋한 경우 먼저 커밋된 로그 확인 해보자.(해당 프로젝트 경로의 터미널에서 진행)1. git log --pretty=format:"%h = %an , %ar : %s" --graph 바꿔야할 번호를 ..
1. 새로운 second branch 생성git checkout -b "second" 2. 현재 git branch 확인git status 3. 변경된 내용 추가git add . 4. commitgit commit -m "두번째 계정으로 commit" 5. git remote에 반영git push origin second
터미널 창에 1. git 초기화git init 2. repository 연결git remote add origin http://localhost:3000/Team.DandyDev/report-service.git (깃주소) 연결된 git fetch/ push 주소 확인git remote -v 3. 브랜치 대상으로 check outgit checkout -b main 4. repository 원격 브랜치로 commit, push 하기 => git repository에 올리기git add .git commit -m 'first'git push origin main 이렇게 진행시 새로운 repository에 원격 브랜치 main 생성되며 업로드 됨.
프로젝트 도중 쓰던 것의 히스토리 및 레포지터리를 삭제, 초기화 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것. # Terminal git bash에서 1. 로컬 저장소의 repository 삭제 rm -rf .git 2. 로컬 저장소를 다시 초기화 git init 3. github에 프로젝트 들어가서 해당 저장소 삭제. 4. 다시 vcs - share project - 깃 레포지터리 생성 5. 새것으로 만들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