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lezlia로 hwp 파일이나 office UTF-8로 옮겼음에도 불구하고 Linux putty에서 한글이 깨질 때가 있다. # 해결법 Remote character set에 UTF-8로 설정 해준다. 하지만 이걸 했음에도 한글이 깨질 때가 많이 볼 수 있을 것이다. 캐릭터 셋 문제다. putty로 원격으로 접속한 다음 vi .bash_profile을 해준다. 안에 export LC_ALL=ko_KR.utf8 export LANG=ko_KR.utf8 을 적어준다. !wq로 저장 시켜준다. 위를 쳐서 bash_profile 바로 적용해준다. 해당 경로에 파일을 들어가본다. 한글이 정상적으로 나타난다.
매번 구글링해서 찾는게 귀찮아서 메모. 톰캣이나 db등 여러개 떠있을 때, 이미 가동 중이라는 에러 뜨면서 그럴 때가 있음. 그럴 때 사용함. #linux은 ps -eaf | grep tomcat 등을 사용하겠지만, kill -9 번호 #윈도우에선 cmd에서 netstat -a -o 해당 포트 확인 후 pid를 기억하고 taskkill /f /pid pid(기억한 pid번호) 해주기
외부 톰캣이라서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ntityManagerFactory'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orm/jpa/HibernateJpaConfiguration.class]: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Unable to create requested service [org.hibernate.engine...

IIS - - 서버랑 연계해서 보통 사용한다고함. (게임 회사 등등) 사이트 이름 TEST 실제 경로 원하는 폴더 경로 넣고 filezlia에서 해당 서버 주소(원격 윈도우 서버 주소) 사용자명 / 비밀번호 / 포트 연결하면 위에서 원하는 폴더 경로로 바로 붙음. 거기에 파일을 넣고 빼고 삭제 하고 사용하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