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T와 OAuth 2.0을 이용한 sso와 비슷한 통합 인증 처리 방식을 구현하고 나서 정리하기 위해서 작성 되었다. 여러 방식 중에 두가지 방식을 보면 1. A 시스템에서 B 시스템의 api를 사용하고 싶을때 (Header 기반 인증 방식)authentication의 header에 담아서 이용 .헤더를 통해 JWT를 전달하는 것은 API 호출과 같은 서버 간 통신에서 주로 사용됨. (주로 사용하는 방식) ex) # A 시스템 (http://localhost:8081)@PostMapping("/authenticate")public ResponseEntity authenticate(@RequestParam String username) { // JWT 생성 String jwtToken =..
# 에러 내용┌─────┐| jwtCookieFilter defined in file [D:\2024\sso\build\classes\java\main\com\jwt\sso\example\sso\global\JwtCookieFilter.class]↑ ↓ | securityConfig defined in file [D:\2024\sso\build\classes\java\main\com\jwt\sso\example\sso\global\SecurityConfig.class] └─────┘ jwt + oauth2 + cookie(jwt filter)를 이용한 기능을 구현하다가 위와 같은 에러가 나왔다.즉 순환 종속성 에러이다. => 순환 종속성은 두 클래스가 서로 종속될 때 발생한다고 한다. ..
#에러build.gradle.ktx에서 실행시 모든줄이 빨강으로 나올때 #해결Itellij -> file -> Invalidate Caches -> 무효화 및 다시 시작(reaload)
# 결론은 네트워크 및 웹중계(서브 도메인과 포트 연결), 클라우드 내부 서버 포트 방화벽 다 신경 써서 포트 작업을 해주면 502 Bad gateway가 해결된다. # 과정 : 클라우드 서버(linux)가 이유는 모르겠지만, 꺼졌다가 올라왔다. 그래서 firewalld 다시 설정하고, apche tomcat을 다시 실행시켜주었다.그랬는데 502 bad gateway가 떴다. 이런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다. 그래서 찾았다. 찾았는데 원인이 나만 방화벽을 뚫는다 해서 되는게 아니었다. 서버가 이렇게 되면 이야기 들어보니 다른 설정은 그대로 유지되는거 같다. # 원인1. 아이피 고정으로 되어있는지 확인 하는거랑. (=> 서버가 내렸다 올라가면 고정 아아이피가 아닐 시 변하는 경우도 있다.)2. 방화벽 뚫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