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 프로젝트에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모델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거나 품질을 올리는 일련의 과정을 데이터 전처리라고 한다. 전처리 과정에서 해야 하는 일들을 다음과 같다. 데이터 실수화: 문자열, 범주형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실수형으로 변환 불완전 데이터(결측치) 제거: NaN, NA, NULL 값 등을 제거 데이터 노이즈 제거 가격 데이터의 '-', '없음' 등 적절하지 않은 데이터 제거 이상치 제거 나이 값으로 200, 1200 등이 존재하는 경우 등 모순된 데이터 제거: 남성 주민번호가 2로 시작하는 경우 등 데이터 불균형 해결 과소포집(Undersampling), 과대포집(Oversampling) 주요 데이터 전처리 기법 Data Vectorization:..
INSERT INTO (board_name, board_class) values (#{bookName,jdbcType=VARCHAR},#{boardClass,jdbcType=INTEGER}) ) 여기서 useGeneratedKey="true" , keyProperty="boardId" 로 하면 문서에, useGeneratedKeys라는 것이 있어요. 이것은, JDBC의 getGeneratedKeys를 이용한다는 옵션입니다. 이것은 자동 생성 키값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저는 board_id를 PK로 잡았고, board_id가 bigserial이므로, 얘를 기준으로 탐색. 이후 url 호출로 insert를 하게 되면 board_id가 순차적으로 1씩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음.
Mybatis를 사용하는 방식으로는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1. SqlSessionTemplate - MyBatis3.0 이전 2. MapperInterface - Mybatis 3.0버전 [SqlSessionTemplate] SqlSessionTemplate는 Mybatis쿼리문을 수행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MyBatis3.0 이전에 사용하던 방식이며 DAO클래스에 직접 SqlSession객체를선언하고 @Autowired로 의존주입하여 쿼리문을 수행 하는 방식입니다. ↓ root-context.xml에 SqlSessionFactory를 등록해야합니다. DAO 메서드 인자값으로 "key" key이름을 부여하며 쿼리문을 수행하는 xml파일의 혹은 태그의 id속성에 동일한 key이름으로 지정 으로 DAO의 ..

# application.yml server.port : 7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