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전에는 if문을 사용할 때, 가독성 등 생각 안하고, 줄줄이 달았다면, 앞으로는 조건부 연산자로 이쁘게 사용하기 위해서 정리하게 되었다. # 조건 연산자 조건식 ? 식이 true일때 : 식이 false 일때 ex) if("200".equals(code)) { return ResponseEntity.ok().body(result); } else { return ResponseEntity .status(HttpStatus.BAD_REQUEST) .body(result); } => 조건부 연산자로 바꿀 시에 return "200".equals(code) ? ResponseEntity.ok().body(result) :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BAD_REQUEST).body..
팀원 분이 저의 소스에 문제점을 지적해주었다. 그래서 그것을 앞으로 더이상 이상하게 사용하지 않고, 잘 쓰게끔 머릿 속에 저장 할 겸 이렇게 작성하게 되었다. # 문제점 : @RequiredArgsConstructor @RequiredArgsConstructor(생성자 주입)의 어노테이션과 나는 소스 안에서 @Autowired ResourceLoader resourceLoader; @Autowired(필드주입)의 어노테이션을 같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것은 한마디로 같은 역할을 하는데, 두번 중복으로 쓰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RequiredArgsConstructor을 사용하면, @Autowired 필드 주입은 사용할 필요 없고 그냥 final로만 적어주면 된다. # 해결 : @RequiredArg..

Rest api에서는 사용자가 알아볼 수 있게 http 상태코드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그래서 해당 부분을 맞춰서 개발하는 도중에, 사용자에게 404에러 일시, message 문구를 변경해보려고 했다. 그렇지만, 없는 페이지 경로를 던져도, error : Not found, message : No message available은 고쳐지지 않았다. 하지만, 서치로 바꾸는 법을 알게되어서 정리하게 되었다. # 증상 : 여기에서 나오는 error 및 message를 바꿔 볼려고 했다. # 해결법 : @ControllerAdvice public class CustomExceptionHandler extends ResponseEntityExceptionHandler { @Override public Re..

rest api로 api를 만들어서 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 Json에 데이터를 넣어주다가, 다른 open api와 다르게 한줄로 지저분 하게 출력이 되어서 찾게 되었고 이쁘게 나오는 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 증상 : 출력을 하면 이렇게 한줄로만 나오는데, 물론 이대로 사용해도 되긴 하지만, 다른 api와 비교하면.. 없어보인다. # Pretty Print로 출력 시 # 해결법 :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JsonNode jsonNode = objectMapper.readTree(result); prettyJsonStr = objectMapper.writerWithDefaultPrettyPrinter().writeValueAsString(j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