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액추에이터란
액추에이터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하고, 어느 정도까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방법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성 속성들
-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다양한 패키지의 로깅 레벨(logging level)
-
애플리케이션이 사용 중인 메모리
-
지정된 엔드포인트가 받은 요청 횟수
-
애플리케이션의 건강 상태 정보
먼저
pom.xml에 의존성 추가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actuator</artifactId>
</dependency>
application.yml에
management:
endpoints:
web:
exposure:
include: health
를 적어준다.
후에 서버에서
url:포트/actuator/health
를 입력하면 현재 서버 상태를 볼 수 있다.
각 지표의 건강 상태는 다음중 하나가 될 수 있다.
-
UP : 외부 시스템이 작동 중이고 접근 가능하다.
-
DOWN : 외부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거나 접근할 수 없다.
-
UNKNOWN : 외부 시스템의 상태가 분명하지 않다.
-
OUT_OF_SERVICE : 외부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지만, 현재는 사용할 수 없다.
https://incheol-jung.gitbook.io/docs/study/srping-in-action-5th/chap-16.
CHAP 16. 스프링 부트 액추에이터 사용하기 | Incheol's TECH BLOG
스프링 인 액션(5판) 챕터 16장을 요약한 내용 입니다.
incheol-jung.gitbook.io
'디자인 패턴 > MS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service] 구축 후 encrypt, decrypt 디비 암호화 및 key (0) | 2024.08.01 |
---|---|
[MSA]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꼬꼬무 (0) | 202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