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yarn
yarn build를 하면
보통 뭐를 더 해라고 개발자가 친절하게 console.log에 나오게끔 처리함.
그것을 그대로
yarn ~~
~~ build 등 해주고
그 다음
파일 안에 server.js가 있으면
node server.js로 실행
아니면
yarn build 후
아래와 같이 실행하는 경우도 있음.
yarn develop
yarn global add serve
serve -s build
하면 로그창에 localhost:3000 보통 이렇게 나옴.
아니면 server on
port on 이렇게 간단하게 표현 한 사람도 있으니 node.js가 실행 됐다는 것으로 url에다가
localhost:3000 으로 들어가면됨.
'개발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 환경변수 잡기 (0) | 2024.03.05 |
---|---|
[node] intellij express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프로젝트 안의 폴더가 안보일 시에 (0) | 2023.02.23 |
[node] app.js 해석 및 풀이 (프로젝트 생성 시 만들어지는 핵심 js) (0) | 2023.02.21 |
[node] Intellij Express Server 구축 방법 (0) | 2023.02.20 |
[node] node.js 쓰는 이유와 클라이언트, 서버 요청 응답 내용 정리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