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DO
[node] login인시 {"error":"Cannot set properties of undefined (setting 'userId')"} & 미들웨어란
개발/node.js 2025. 9. 10. 10:43

# error{"error":"Cannot set properties of undefined (setting 'userId')"} # 원인exports.login = async (req, res, next) => { const { email, password } = req.body; try { const user = await loginService.login(email, password); // 로그인 성공 시 세션에 저장 (express-session 사용 가정) req.session.userId = user.id; // 페이지 이동 or JSON 응답 res.redirect('/user'); // 로그인 후 유저 페이지로 이동 // 또는: res.json({ me..

[node] app.js 인수 타입 string을(를) 매개변수 타입 RequestHandler<RouteParameters<string>>에 할당할 수 없습니다 할당된 타입이 호출 시그니처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error 2025. 9. 10. 08:45

# error/인수 타입 string을(를) 매개변수 타입 RequestHandler>에 할당할 수 없습니다 할당된 타입이 호출 시그니처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경로 문제 # 원인app.js 쪽에서 경로 문제로 즉 없는 js를 호출 할려고 해서 생긴 문제. app.use url을 달 수 없는것. # 해결실제 있는지 확인 하고 경로 맞춰주면 해결

[git] 복습 & sourceTree
형상관리/git 2025. 9. 8. 10:03

# 브랜치 만드는 이유 1. 새로운 기능이나 수정 작업을 master에서 바로 하면, 작업 도중에 에러가 발생해 빌드가 깨지거나 배포가 가능한 상태에 무너짐. 그래서 dandy라는 브랜치를 따서 거기서 마음껏 작업 후 -> 검증 후 master에 병합하는 구조를 씀. 각자 독립적으로 개발하다가, 테스트 후에만 master로 합침. 2. branch랑 sourceTree 연동 테스트, commit, push 하면 sourceTree에 반영됨. 3. branch 소스를 master에 반영 하고 싶으면, master로 체크아웃 후 병합 진행한 다음에, 푸쉬 까지 진행 되어야 반영됨. # branch 충돌 테스트 4. 충돌 났을때 화살표 의미 X를 누르면 적용 안하겠다는 의미, >>를 누르면 해당 부분을 적용,..

[error] cmd docker message -> bind: Only one usage of each socket address (protocol/network address/port) is normally permitted
error 2025. 8. 21. 15:04

#에러 : 이미 포트가 사용 중이라서 바인딩 안되는 에러. #해결 :cmd netstat -ano | findstr :8055 => pid 번호 조회taskkill /f /pid 후에 재실행